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ROX Tigers/2016 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1라운드 === ||<-7><tablebordercolor=#201411><bgcolor=#201411><tablewidth=7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 '''{{{#fff ROX Tigers}}}''' || ||<-7><nopad> [[파일:RoxTigers_2016lckspring.jpg|width=100%]] || ||<bgcolor=#201411> '''{{{#fff 감독}}}''' ||<-6>[[정노철|정노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01411; font-size: .9em" {{{#fff NoFe}}}}}}]]|| ||<bgcolor=#201411> '''{{{#fff 코치}}}''' ||<-6>[[김상수(e스포츠)|김상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01411; font-size: .9em" {{{#fff SSONG}}}}}}]]|| ||<-7><bgcolor=#fff> '''{{{#d10927 로스터}}}''' || ||<width=22%><bgcolor=#201411>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5]][br]'''{{{#fff TOP}}}''' ||<-3><width=39%>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송경호(프로게이머)|송경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01411; font-size: 1.0em" {{{#fff Smeb}}}}}}]] ||<-3> || ||<bgcolor=#201411>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5]][br]'''{{{#fff JGL}}}'''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한왕호|한왕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01411; font-size: 1.0em" {{{#fff Peanut}}}}}}]] ||<-3> || ||<bgcolor=#201411>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5]][br]'''{{{#fff MID}}}'''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서행|이서행[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01411; font-size: 1.0em" {{{#fff Kuro}}}}}}]]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재하(프로게이머)|이재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01411; font-size: 1.0em" {{{#fff Sylph}}}}}}]] || ||<bgcolor=#201411>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5]][br]'''{{{#fff BOT}}}'''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종인(프로게이머)|김종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01411; font-size: 1.0em" {{{#fff PraY}}}}}}]] ||<-3> || ||<bgcolor=#201411>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5]][br]'''{{{#fff SPT}}}''' ||<-3> [[파일:crwn.png|width=1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강범현|강범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01411; font-size: 1.0em" {{{#fff GorillA}}}}}}]] ||<-3> || 2016 시즌부터는 ROX Tigers라는 새 이름으로 활동하게 된다. ROX는 스폰서명이 아닌 팀명이며, 전문 매니지먼트사의 운영을 통해 [[http://sports.news.naver.com/esports/news/read.nhn?oid=236&aid=0000133787|클럽 팀 방식]]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한다. 유니폼에 붙어있는 스폰서는 YY.COM과 HUYA.COM[* YY.COM이 운영하는 게임방송 전문 플랫폼]이다. GE 엔터테인먼트 - KOO 그룹이 망하고 이들의 지분을 갖고 있던 YY.COM의 스폰서가 붙게 된 것. 스폰서가 날아간 상황에서 다행히 협의가 잘 되었던 것 같다. 1월 15일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CJ Entus]]를 상대로 첫 경기를 치렀다. LCK 신입생들을 상대로 [[퀸(리그 오브 레전드)|4]][[킨드레드|캐]][[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리]] [[칼리스타|조]][[트리스타나|합]]을 꺼내들었고, [[윤왕호|피넛]]의 [[킨드레드]]가 미쳐 날뛰면서 데뷔전 MVP까지 가져가게 된다. 2세트 역시 공격적인 운영으로 신생 CJ를 죄여오면서 킬 스코어는 1세트에 비해 낮았으나 글로벌 골드는 오히려 더 높게 가져갔고, 21분만에 넥서스를 터트리는 폭발적인 경기력을 선보였다. 1월 21일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와의 경기에서도 2:1으로 승리하였다. 용호상박이라는 사자성어를 연성케 하는 강팀들의 치열한 경기였으나 ROX가 개인 기량 면에서 조금 더 우위를 보였고, 2세트를 간신히 따내며 맹렬하게 추격하던 kt를 결국에는 격추시키면서 무서운 기세를 이어갔다. 1월 23일 [[Longzhu Gaming]]과의 경기 역시 2:0 완승을 거뒀다. 전체적으로 개인 기량 차이가 눈에 띌 정도로 심했는데, 공격적인 정글러의 정점에 있는 두 선수의 대결로 기대를 모았던 정글 싸움에서는 피넛이 [[이상현(프로게이머)|체이서]]를 완벽하게 압도했다. 바텀 라인전 역시 프레이와 고릴라가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줬으며, [[송경호(프로게이머)|스멥]] 역시 [[이호종|플레임]]에 비해 자신감과 개인 기량에서 모두 압도적인 우세함을 보였고, 쿠로는 [[신진영(e스포츠)|코코]]의 인간 상성임을 또 다시 증명해 내는데 성공했다. 1월 27일 [[SK telecom T1]]과의 경기도 스코어는 2:1이지만 경기력면에서 1, 2, 3세트 모두 2세트 초반을 제외하면 시종일관 SKT를 리드하는 모습으로 천적이던 SKT를 박살내버렸다. 그나마 1세트는 후반 한타 조합과 뱅의 미친 하드 캐리로 인해 역전패 당했지만 2세트는 무난하게, 3세트는 압도적으로 SKT를 이겼다. 3주차까지의 ROX의 경기력은 '''압도적'''이라고 평할수가 있는데, 매우 특이한 사항은 전통적인 강팀들과는 달리 '''분당 와드 설치수와 분당 와드 클리어 수가 상당히 낮다는 것이다!'''[* 출처는 ROX vs 삼성전 1경기 PapaSmithy의 해설. 몬테역시 Summoner Insight에서 같은 말을 했는데 [[http://www.youtube.com/watch?v=bUU27XX-CKo&t=3h00m00s|#]] ROX의 분당 와드 수는 EU랑 비교하면 오히려 두번째로 많은 것이라고 한다. 즉 다른 한국팀에 비해서 와드를 매우 적게 깐다는거지 해외팀들보다는 오히려 많이 와드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 이는 ROX의 달라진 스타일과 관련있는데 피넛이 유효 갱킹도 갱킹이지만 주력 스타일이 상대방 정글러부터 압도하는 것을 선호해서 상대방 정글 동선 파악이 쉬워지니 '''애초에 와드를 많이 쓸 필요도, 지울 필요도 없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나오는 골드 이득이 그대로 피넛이 시야석 자체를 사지않고 코어템을 올리는 템트리로 치환되고 고릴라가 빠르게 로밍하며 게임을 터뜨려서 안그래도 빠른 스노우볼링이 극한으로 더 빨라지는 것. 거기에 전부터 뛰어났던 픽밴 능력과 챔프폭 덕분에 방어/운영 지향 정글러가 있는 팀과는 달리 포킹 조합, 로밍 조합, 3원딜 조합등등 못하는 전략이 없을정도로 그 이행 능력이 뛰어나다. 다만 아직 이런 공격적인 성향에 대한 약점이 드러나지 않은 만큼 그 취약점이 드러났을 때 ROX가 대처하는 방법이 이후에도 승승장구 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리고 2016년 2월 12일 현재까지도 공략법은 나타나지 않은 채 일방적인 승리를 챙겨갔다. 최근 SKT를 고전시키며 물이 오르고있다고 있는 평을 듣고 있는 [[e-mFire]]에게 이번에는 '''녹턴''', 케넨, 리산드라, 애쉬, 알리스타라는 무한 이니시 개돌진 조합으로 뉴메타 연구를 성공시키고, 2경기에서는 엠파이어에게 25분 2만2천골드차 라는 끔찍한 고통을 선사하며 박살냈다. 2016년 2월 19일 진에어와의 경기에도 초반에 밀리는 양상이 보이긴 했지만 이내 진에어의 실수들을 놓치지 않고 전부잡은 후 약 2만 골드 차로 승리하였다. 1라운드가 끝난 시점에서 ROX를 이길 수 있는 가설을 두 가지 떠올려 볼 수는 있다. 첫 번째 가설은 밴픽 문제다. 노페의 밴픽은 두 가지 컨셉을 바탕으로 정해진다. 첫 번째 컨셉은 기동력을 가진 챔프를 주축으로 픽해서 국지전 단계에서 상대를 지속적으로 끊어내 스노우볼링을 굴리는 것이다. 이 컨셉을 가장 잘 살필 수 있는 경기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결승#s-3.1.4|2015년도 롤드컵 결승 4경기]]다. 비록 경기는 졌지만 텔포를 든 룰루와 텔포에 준하는 스킬을 가진 렉사이와 탐 켄치를 픽한 시점에서 노페가 선수들에게 기대했던 그림이 얼마나 큼직하고 세세한지를 알 수 있다. 두 번째 컨셉은 라인전 단계에서 상대를 압도하면서 스플릿 주도권을 움켜쥐는 것이다.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3주차#s-2|2016 스프링 3주차에 SKT를 만났을 때]] 3연속으로 칼리스타를 픽한 것이나, 1경기와 2경기에 각각 퀸과 피오라를 탑라인으로 픽한 것 등에서 이런 성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두 챔프는 스플릿 주도권을 가질 때는 운영 측면에서 선택지를 넓힐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게임이 불리할 때는 상대에게 쉽게 잘릴 수 있는 위험도 갖고 있다. 당시 듀크가 선호하던 챔프폭을 감안하더라도 꽤 과감한 픽이었다. 보통은 이렇게 두 가지 컨셉을 살릴 수 있는 픽을 구상하지만 선수들의 한타 능력도 워낙 스킬 연계가 뛰어나기 때문에 그 점을 고려하는 것도 문제다. 따라서 ROX를 밴픽 단계에서 앞서려면 똑같이 스플릿 주도권을 움켜쥐면서 상대 챔프 한 명을 미리 끊을 수 있는 챔프가 반드시 필요하다. 예를 들어 트페처럼 국지전 단계에서 상대를 계속 자를 수 있는 챔프나 그레이브즈처럼 상대 체력을 확 할퀼 수 있는 챔프를 픽해도 ROX를 이길 가능성이 있다. 다만 트페는 라인전 단계가 약하고, 그레이브즈를 픽하면 이니시에이팅 수단이 줄어들어 막타를 놓칠 수 있다는 약점이 생기니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할 거다. 두 번째 가설은 정글러 문제다. 현재 ROX가 그 날개를 활짝 펴는 것은 공격적인 정글러로 인해 얻는 효과가 기대 이상이기 때문이다. 롤의 전략은 밴픽 단계에서 끝나는 게 아니고 오브젝트 컨트롤을 포함한 운영 단계가 한타 장면으로 이어지는 설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피넛은 이 오브젝트 컨트롤에서 주도권을 움켜쥐면서 각 라인이 자기네 정글러와 어떻게 호응하는 지를 확인한다. 이렇게 되면 와드를 상대적으로 덜 설치해도 상관없고, 그렇게 아낀 돈으로 코어템을 더 빨리 뽑을 수 있으니 ROX는 선순환적으로 이득을 보는 거다. 상대팀 입장에서는 어떻게든 피넛의 성장을 막아야 ROX의 운영에 제동을 걸 수 있는 건데, 솔직히 정글러만으로는 피넛을 막을 수 없다. 일단 피넛의 피지컬이 뛰어나서 단순 맞대결로는 승산이 떨어지는데 피넛이 니달리처럼 자유롭게 맵을 뛰어다니는 챔프를 픽하기라도 하면 같은 정글 입장에서는 술래잡기 하다가 라인전 단계가 끝나버린다. 그러니 피넛을 잡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기보다는 피넛이 때때로 유리함에 취해 공격적으로 달려드는 걸 이용해 덫을 놓는 게 더 효과적일 거다. 다만 이러려면 다른 ROX 팀원들이 피넛을 오더 측면에서 케어할텐데 그것을 얼마나 무시하게 만드느냐가 관건이다. 게다가 1라운드 ROX의 마지막 게임인 스베누 전에서 '''14버프이자 퍼펙트 버프 컨트롤'''을 피넛이 선보이며 정말 악마같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ROX의 정글을 말리지 않으면 압도당한 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후반기 첫 경기인 롱주전에서도 상대를 박살내며 페이스를 이어가는 중.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